뉴라이트 보수 역사 교과서 논란
친일 논란 교과서 채택한 경북의 고등학교
뉴라이트 보수 영향이 미친 교과서의 특징은 일본의 잘못과 독재정권의 잘못을 미화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자라나는 세대에게 역사 왜곡을 하게 된다는 비판이 있다. 그런데 유독 경북의 고등학교에서 이런 교과서만 채택하면서 논란에 올랐다. 누리꾼들은 "역시 경북!" 등의 댓글을 달며 비판하고 있는 중이다.
친일 논란 교과서 채택한 경북의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일친 논란
친일 독재를 미화하고 오류가 많다는 지적 속에 검정을 통과한 한 출판사의 고교 한국사 교과서가 있었다. 그런데 집필진 중 한 교사가 근무하는 경북의 한 사립고에서 유일하게 이 교과서를 채택해 논란이 일었다. 학교 측은 교과서 선정은 교권이라며 안팎의 비난을 정치적인 공세로 규정하고 법적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북 경산 문명고등학교 학부모와 지역 시민 단체들이 항의 집회를 열었다. 친일 독재 미화와 불량 한국사 교육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며, 부실 검정 논란을 일으킨 한국학력평가원의 한국사 교과서 채택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한 참가자는 "불량 교과서로 낙인찍힌 교과서를 전국에서 유일하게 채택하고, 교사의 고유한 권한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거짓말과 역사 왜곡도 참 세련되게 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학교 측은 기자 회견을 자청해 물러설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검정을 통과했다는 것은 검정 기준에 적합했다는 뜻이다. 국가 전문가보다 더 전문적으로 학교에서 심사 판단할 수 있는 곳은 없다"고 주장했다. 300여 건의 오류가 있다는 지적에는 "오류가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계속 논란이 되면 교과서를 바꿀 수 있냐는 질문에 "어떻게 2학기 중에 아홉 개 교과 중에서 한 학교만 선하는가? 이건 사실상 비민주적인 거다. 이건 교육이 아니고요, 교섭도 아닙니다"라고 답했다.
교과서 채택은 헌법이 보장한 권리로 절차상 문제도 없다고 강조했다. "우리 학교는 검증을 받은 교과서 중에서 어떤 것을 채택할 것인지를 관련 교과서 선정 매뉴얼에 따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교과서 채택 논의를 위한 학교 운영위원회 개최 날짜와 안건 등을 사전에 알리지 않아 관련 법 시행령과 재단 정관 등을 어겼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같은 비판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의에 학교 관계자는 교장이 자리에 없어 답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학부모와 전교조 등 시민 단체들은 교과서 주문 마감일인 다음 달 20일까지 1인 시위 등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라이트 보수의 문제
그런데 이상하게도 보수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이런 상태가 반복되어 왔다. 이번 윤석열 정부와 보수 정당 때의 역사 교과서 문제도 마찬가지다. 더구나 문제가 된 문명고의 과거에도 이런 문제의 중심에 있었다.
문명고는 지난 2017년 전국에서 유일하게 국정 역사 교과서를 쓰는 연구학교로 지정돼 학생과 교사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2017년 사태는 이렇다. 기존에 자유롭게 역사를 연구하고 그것으로 역사 검증을 받아 왔던 것을 폐지한 것이다. 그러고는 박근해 보수 정부가 자신들이 원하는대로 역사 교과서를 만들어 배포하려고 했다. 여기에는 뉴라이트 학자들이 개입했고, 그래서 친일적이고 군부 독재시절을 미화하는 내용이 포함되게 되었다.
그러자 전국 시·도 교육감들이 역사 교과서 국정화 중단을 요구하고, 국정 교과서가 발간되더라도 배포 거부를 검토하겠다고 선언했다. 전국의 교육감 17명 가운데 2명이 빠졌는데, 그 2명이 대구와 경북 교육감이었다. 항상 대구 경북만 이상하게 굴었던 것이다.
교육부 계획대로라면 당장 다음 년부터 중학생은 국정 교과서로 역사를, 고등학생은 한국사를 배워야 했다. 한국사는 그해부터 수능 필수 과목에 포함돼 국정 교과서를 토대로 시험을 치러야 했다. 학교마다 이미 다음 년도 교과서 신청까지 모두 끝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전국 시·도 교육감들은 성명을 내고 역사 국정 교과서는 단일한 역사관을 주입하려는 시대착오적인 역사 교육이라며 배포 거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구와 경북의 2개 교육감만 성명에 동참하지 않았다.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국정 교과서가 아닌 다른 교과서를 선택하고, 교육부의 정책 변화가 생겼으며, 또 다른 교과서를 바탕으로 문제가 출제될 경우 대구·경북 학생들만 더 어려움을 겪을 수 있었다.
보수 교육 정책에 충실히 따른 대구와 경북이 국정 교과서를 두고도 다른 시도와 동떨어진 모습을 보이면서 지역 학생들만 피해를 보지 않을까 걱정이 됐다. 그것은 뉴라이트의 친일과 독재 시절 미화의 내용 때문이다.
또 다른 기사들
부부 간 칼부림 사건 / 시아버지 시어머니는 며느리 탓 - 실화탐사대 710회
명태균 여론조작과 윤 대통령 명예훼손 사건의 검찰 비교
[ 친일 논란 교과서 채택한 경북의 고등학교 ]